약력 |
살아가는 과정은 적응의 연속인 것 같다.
수많은 상대와의 관계와 낯선 상황에 적응해가는 나의 모습은 때에 따라 다양한 모습으로 보인다. 작품에서 보이는 작은 인체 조각들은 내가 그동안 경험한 감정과 상황들이 투영된 형태이며, 불규칙하게 설치된 직선은 공간을 뻗어 나가며 그 공간에 적응한다. 어느 날 고양이 한 마리가 나의 삶으로 들어왔다. 작업실에서 고양이와 함께 지내면서 고양이의 삶은 관찰했다. 직선의 시간을 달리는 인간의 삶과 달리, 고양이의 삶은 같은 하루의 반복 속에서, 온전한 행복을 느끼며 살아가는 존재임이 분명하다고 생각했다. 자유로워 보겠다고 노력하는 나의 조각의 모습들은, 정작 자유를 보여주지 못하고 직선의 굴레에 갇혀있었다. 어느 순간, 나는 작업실에서 한가롭게 장난치는 고양이가 낯설어 보였다. 그 모습에서 진정한 자유와 행복을 발견하게 되었다.. | 학력사항 - 제주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 (조소과) 졸업 - 홍익대학교 일반대학원 (조소과) 석사 | 활동경력 ▸ 개인전 - 2021. 반추(反芻) (문화상회 다담) ▸ 단체전 - 2022. 마감뉴스 정기전 { } (그림바위 예술 발전소) - 2020. 실실네트워크 (온라인 전시) - 2019. 1+1=3 (숲속갤러리) - 2019. 보물 창고와 여행자 (영도 창고) - 2018. For Your Turn (갤러리 엘르) - 2018. i-seoul-nomad-life-crease-origami-shell-spread-nihilism-gravity.com (비아아트갤러리) - 2018. BALLIN’ BOWL (엘리펀트 아트) - 2018. 여기, 지금 –여름엔- (서호미술관) - 2017. A=A' (바움아트갤러리) - 2017. 그렇기도 하고 아니 그렇기도 하고 (아트스페이스 HOSEO) - 2017. 무엇이 삶을 예술로 만드는가 (세종문화회관 미술관) - 2016. 보내고 展 (춘천문화예술회관) - 2016. 가야휴즈 展 (종로 청계문화회관) - 2016. 아트 업 인도네시아 (CIKAPUNDUNG RIVERSPOT-BANDUNG 인도네시아) - 2016. 아트 업 페스티벌 (동대문디자인플라자) |
---|---|
SNS |